반응형 전체 글1142 [정보보안기사] 시스템 보안 - 클라이언트 보안 - 목차 - 2. 클라이언트 보안 (1) 윈도우 보안 ① 윈도우 시스템 ② 윈도우 인증 시스템 ③ 윈도우 실행 프로세스 ④ 윈도우 사용자 계정 ⑤ NTFS 파일 시스템 ⑥ 공유 폴더 ⑦ 레지스트리 ⑧ 하이브 파일 ⑨ 이벤트 로그 및 웹 아티팩트 분석 ⑩ 바이러스와 악성코드 (2) 인터넷 활용 보안 ① 웹브라우저 보안 ② 메일 클라이언트 보안 (3) 공개 해킹 도구에 대한 이해와 반응 ① 트로이 목마 ② 크래킹 ③ 키로그 (4) 도구활용 보안관리 ① 클라이언트 보안도구 활용 ② 클라이언트 방화벽 운영 2. 클라이언트 보안 (1) 윈도우 보안 ① 윈도우 시스템 - GUI, 다중 사용자, 다중 프로세스 구조를 지원하는 운영체제 - 다양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는 Plug&Play 기능을 지.. IT/정보보안 2019. 6. 20. 더보기 ›› tistory 티스토리 단축키 #티스토리 글쓰기 단축키 정리 (크롬 웹브라우저 사용) ★ Q 버튼 누르면 관리자 모드 ★ Ctrl + b : 굵게 Ctrl + i : 기울기 Ctrl + w : 크롬 탭 종료 (글 저장 안되고 취소 될 수 있으니 주의) Ctrl + e : 구글 주소창 검색 Ctrl + r : 사이트 새로고침 (글 저장 안되고 취소 될 수 있으니 주의) Ctrl + t : 크롬 새탭 열기 Ctrl + u : 밑줄 긋기 Ctrl + o : PC 로컬파일을 크롬탭에서 열기 (글 저장 안되고 취소 될 수 있으니 주의) Ctrl + p : 인쇄 Ctrl + a : 글 전체 선택됨 Ctrl + s : 크롬 웹페이지 저장 Ctrl + d : 해당 탭 북마크 설정 Ctrl + f : 해당 탭 페이지내 검색 Ctrl + g : 해당 .. ETC 2019. 6. 19. 더보기 ›› [정보보안기사] 시스템 보안 - 운영체제 - 목차 - 1. 운영체제 (1) 운영체제 개요 ①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 ② 운영체제의 구조 ③ 운영체제의 기술발전 흐름 (2) 운영체제의 주요 구성 기술 ① 프로세스 관리 ② 기억장치 관리 ③ 파일 시스템 관리 ④ 분산 시스템 (3) 운영체제 사례별 특징과 주요기능 ① 유닉스 ② 윈도우 ③ 리눅스 ④ 보안운영체제 특성 1. 운영체제 (1) 운영체제 개요 ①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 - 운영체제란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 ② 운영체제의 구조 - 1단계 : 프로세서 관리 - 동기화 및 프로세스 스케줄링 - 2단계 : 메모리 관리 - 메모리 할당, 회수 기능 - 3단계 : 프로세스 관리 - 프로세스 생성, 제거, 메시지 전달, 시작과 정지 - 4단계 : 주변.. IT/정보보안 2019. 6. 19. 더보기 ›› 시스템보안 - 보안 계정 관리자 SAM (Security Account Manger) SA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① 사용자 패스워드는 해시된 상태로 저장된다. ② SID를 사용하여 각 자원에 대한 접근권한을 명시한다. ③ SAM 파일은 사용자, 그룹 계정 및 암호화된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④ 사용자 로그인 정보와 SAM 파일에 저장된 사용자 패스워 드 정보를 비교해 인증 여부가 결정된다. 보안 계정 관리자 - SAM (Security Account Manager) 보안 계정 관리자(SAM: Security Account Manager)는 윈도우 XP, 윈도우 비스타 그리고 윈도우 7에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이다. 이것은 사용자의 로컬(local) 또는 원격(remote) 인증에 사용된다. 윈도우 2000 SP4부터는 액.. IT/정보보안 2019. 6. 19. 더보기 ›› 일주일이 7일인 이유 1. 역사 일주일은 인류가 현재 사용하는 날짜 체계 중 유일하게 현대 천문학과 관련이 없다. (1년, 1일은 모두 천문학과 관련이 있다.) 고대 바빌로니아 시절 해와 달 그리고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다섯 행성에서 기원한 7일 주기를 사용했고 이는 페르시아, 이스라엘, 그리스로 전파되었다. 7일이 한 단위가 된 것은 고대 바빌로니아의 세계관에 따른 결과다. 옛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땅을 중심으로 해와 달, 눈으로 보이는 다섯 행성이 돈다고 생각했다. 바빌로니아에서는 각 시간을 이들 일곱 천체가 관할한다고 생각했고 7일을 한 주기로 묶어 사용했다. 천문학 좀 한다는 문명 치고 해와 달, 그리고 육안관측이 가능한 다섯 행성을 중요시하지 않는 곳이 없었으므로, 해와 달, 다섯 행성을 묶는 개념은 순식간에 전파되었.. Life 2019. 6. 19.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205 206 207 208 209 210 211 ··· 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