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142 vi 단축키 모음 vi 단축키 자주 쓰는 단축키 삽입 키기능 i 커서 위치에 Insert I 줄 맨 앞에서 Insert a 커서 다음에 Insert A 줄 맨 뒤에서 Insert o 커서 아래로 한 줄 띄우고 Insert O 커서 위로 한 줄 띄우고 Insert 이동 키기능 w 단어 첫 글자 기준으로 다음으로 이동 W 공백 기준으로 다음(단어의 시작)으로 이동 b 단어 첫 글자 기준으로 이전으로 이동 B 공백 기준으로 이전으로 이동 e 단어 마지막 글자 기준으로 다음으로 이동 E 공백 기준으로 다음(단어의 끝)으로 이동 gg 문서 맨 앞으로 이동 G 문서 맨 아래로 이동 ^ 문장 맨 앞으로 이동 $ 문장 맨 뒤로 이동 검색 /검색할단어 를 검색, `n`과 `N`으로 다음/이전 찾기 ex) /for for를 검색한다. 편집.. IT/Linux 2019. 6. 17. 더보기 ›› Windows Defender Antivirus 정의 업데이트 - KB915597 설치 오류 Windows Defender Antivirus 정의 업데이트 - KB915597 설치 오류 위 사진에서 보듯이 "이 업데이트를 적용하려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란 문구를 통해 컴퓨터를 수차례 재부팅해보았지만 업데이트는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위와 같은 KB915597 설치 오류가 발생하신 분들에게 아래의 방법을 권해 드립니다. 1. 수동 업데이트 위의 사진에서 추가 정보: 에 해당하는 https://ho.microsoft.com/fwlink/?linkid=2009160 을 클릭하시고 들어가셔서 하단에 자신의 윈도우 정보와 bit에 맞는 버전을 선택하셔서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windows7의 64bit PC이므로 아래 사진과 같이 다운로드 하였습니다. 다운로드 된 mpas.. IT/Windows 2019. 6. 17. 더보기 ›› 시스템보안 - 트로이 목마 다음 악성코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 ① 루트킷(Rootkit)은 단일 컴퓨터 또는 일련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해 관리자 레벨의 접근을 가능하도록 하는 도구의 집합이다. ② 원(Worm)은 네트워크 등의 연결을 통하여 자신의 복제품을 전파한다. ③ 트로이목마(Trojan Horse)는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가장한 악성프로그램으로 보통 복제 과정을 통해 스스로 전파된다. ④ 트랩도어(Trapdoor)는 정상적인 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프로그램에 접근하는 일종의 통로이다. 트로이 목마 (Trojan Horse) 말 그대로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시작부터 끝까지 램에 상주하며, 시스템 내부 정보를 공격자의 컴퓨터로 빼돌리는 프로그램이다. 바이러스와 달리 직접 전파 능력이 없으며, 웹하드.. IT/정보보안 2019. 6. 13. 더보기 ›› 시스템보안 - 아이노드 inode 아이노드(i-node)가 가지고 있지 않은 정보는? ① 파일의 이름 ② 파일의 링크 수 ③ 파일 수정시각 ④ 파일 유형 아이드 (inode) 유닉스 계통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이다. 정규 파일, 디렉토리 등 파일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파일 모드 : 파일과 관계된 접근과 실행 권한을 저장하는 16비트 플래그 비트 내용 12-15 파일 형식(일반, 디렉터리, 문자 또는 블록 특별, 선입선출 파이프) 9-11 실행 플래그 8 소유자 읽기 허가 7 소유자 쓰기 허가 6 소유자 실행 허가 5 그룹 읽기 허가 4 그룹 쓰기 허가 3 그룹 실행 허가 2 다른 사용자 읽기 허가 1 다른 사용자 쓰기 허가 0 다른 사용자 실행 허가 링크 수 : 이 아이노드에 대한 디렉터리 참조 수 소유자 아이디.. IT/정보보안 2019. 6. 13. 더보기 ›› 시스템보안 - 솔트(salt) UNIX에서 로그인 패스워드와 함께 일방향 해시함수에 입력되는 12비트 난수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세션키 ② 메시지 ③ 솔트(salt) ④ 멜로리 솔트 (Salt) 소금이 기본 양념이듯 원문에 가미하여 암호문을 다른 값으로 만드는 것. 해시기법은 리턴된 해시 값과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한다. 어지간한 해시 함수는 알고리즘을 공개하기 때문에 이를 악용하여 사전 공격의 일종인 레인보우 테이블 공격을 할 수 있다. 고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원문을 약간 변조하는 것이 솔트인데, 문자열의 앞뒤에 난수생성을 통해 작성된 특정 문자열을 끼어넣은 상태로 해시를 돌려 버린다. [ 출처 ] https://namu.wiki/w/salt IT/정보보안 2019. 6. 13.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208 209 210 211 212 213 214 ··· 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