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fe138 배달의 민족 총주문금액 확인 - 안드로이드 X, iOS만 가능 배달의 민족 공지사항에 아래와 같은 글이 올라왔습니다. 배달의 민족 공지글 [공지] 총 주문금액 조회 기능에 관한 안내 2019.10.31 안녕하세요. 배달의민족입니다. 총 주문금액 조회 기능이 할로윈 기간 동안만 제공됩니다. - 일시: 10/29(화)~10/31(목) - 내용: 배달의민족 앱 > My배민 > '1:1 문의'에서 확인 * 11/1(금)부터는 앱 내에서는 총 주문금액 조회를 이용할 수 없으며, 꼭 필요하신 경우 고객센터 문의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배달의 민족 드림. 위와 같은 공지에는 iOS만 된다는 내용은 확인할 수 없습니다. 안드로이드 앱에서 '1:1 문의'를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총 주문내역 조회는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iOS 단말 즉, 아이폰에선 아래와 .. Life 2019. 10. 31. 더보기 ›› 추분 秋分 추분 추분(秋分)은 24절기의 16번째로 태양 황경이 180도가 되는 때를 말한다. 양력으로는 9월 23일경에 든다. 춘분과 추분을 흔히 이분(二分)이라고 총칭하는데, 하지 이후 낮의 길이가 조금씩 짧아져 추분이 되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 추분 이후부터 차츰 밤이 길어져 바야흐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다가옴을 느낄 수 있다. 비슷해 보이는 추석은 음력이 기준점이 되지만, 추분은 태양력으로 정해진다. 일본에서는 24절기 중 추분과 춘분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오곡백과가 풍성한 시기로, 음력인 추석도 대충 이때에 들지만 태음력이기에 편차가 심하다. 그 때문에 연휴인 추석과 추분이 겹쳐지면 환절기성 질병이나 무기력증에 걸릴 수도 있다. 추분에는 벼락이 사라지고 곤충들은 땅속으로 숨고 물이 마르기 시.. Life 2019. 9. 23. 더보기 ›› 무지개가 생기는 이유 빛이 투명한 물질을 통과할 때 물질의 종류에 따라 통과하는 빠르기가 다른데, 물질과 물질 사이의 경계면에서 빛이 통과하는 빠르기가 달라지면서 빛이 굴절되는 것이예요. 무지개는 공기 중의 물방울에 의해 햇빛이 굴절되면서 나타나요. 햇빛에는 여러 가지 색깔의 빛이 섞여 있는데, 굴절될 때 진행 경로가 달라서 무지개색 빛이 나타나는 것이지요. 그리고 굴절된 빛에 의해 나타나므로 무지개는 태양의 반대쪽에 생기는 것이예요. 빛의 굴절이란 빛이 서로 다른 투명한 물질의 경계면을 지날 때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을 말해요. 물컵에 담가 둔 빨대가 꺾여 보이거나, 물속에 있는 다리가 짧아 보이는 것 등이 있어요. 이것은 물속에 잠긴 부분에서 나와 직진하던 빛이 수면을 지날 때 굴절하여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예요. .. Life 2019. 9. 20. 더보기 ›› 하늘과 바다가 파란 이유 하늘과 바다의 색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많은 사람들이 파란색이라고 대답합니다. 투명한 컵에 담긴 물은 아무런 색도 띄지 않고, 태양에서 나오는 빛 또한 파랗지 않은데도 하늘과 바다는 왜 파란색일까요?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은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에서부터 지구로 들어오는 빛은 대기층을 지나게 됩니다. 이때 대기를 구성하고 있는 산소와 수소, 질소 등 기체 분자와 부딪치면서 다양한 색깔로 분산되는데요. 가시광선 중 파장이 긴 빨간색 계열은 대기층을 통과하지만 파장이 짧은 파란색 계열은 대기층에서 산란돼 퍼지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아침과 저녁 시간대에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은 태양의 고도가 낮아 파장이 긴 붉은 계열의 빛만 가시권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하늘의 색은 습도와도 연관이.. Life 2019. 9. 3. 더보기 ›› 1년이 365일인 이유와 윤년 2월29일 이 생긴 원인 1년 = 365일 지구는 1년에 한 번 태양 주위를 공전합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정확히 한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정확히 365.2422 일입니다. 이것을 1태양년 혹은 1 회귀년이라 합니다. 1년을 단순 365일로 할 경우, 0.2422일 때문에 오차가 생기게 됩니다. 율리우스력 기원전 46년 율리우스 시저는 이집트력을 채택하여 평년을 365 일로 하고, 4년마다 366일이 되는 윤년을 두어 1년이 평균 ( 365+365+365+366 ) / 4 = 365.25일 이 되게 하였습니다. 이는 1년에 365.25 - 365.2422 = 0.0078일 이 길어져 400년에 계절이 3일 앞당겨지게 됩니다(0.0078 x 400 ≒ 3). 그레고리력 기원전 46년 1월 1일부터 사용되어온 율리우스력의 오차.. Life 2019. 7. 18.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24 25 26 27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