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Windows253

윈도우10 바탕화면이 안나오고 앱 화면이 나오는 이유 바탕화면이 안나오고 앱 실행 화면 등이 나와 당황스러운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windows 10 에서 제공하는 태블릿모드로 활성화 되어 있어서 발생한 것이다. 그러므로 태블릿 모드를 종료하면 해결할 수 있다. 1. 작업 표시줄에서 오른쪽 하단 [알림 센터] 아이콘 ( ) 선택하세요. 2. 알림 센터가 나타나면 [태블릿 모드]를 선택하여 꺼주세요. ※ 태블릿 모드에서 데스크톱 화면으로 변경됩니다. IT/Windows 2019. 9. 11.
윈도우 Hosts 호스트 파일, DNS Hosts 호스트 파일 - 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주소가 저장되어 있어서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에서 주소 정보를 제공 받지 않고도 서버의 위치를 찾게 해주는 파일. 네이버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네이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우린 http://www.naver.com 라는 도메인 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도메인 주소를 인터넷 창의 주소창에 입력하지만 실제로 접속하는 네이버는 IP 주소이다. 즉 http://www.naver.com 를 IP주소로 변환시켜주는 무언가가 있다는 얘기다. 이 변환을 해주는 것이 바로 DNS 이다. DNS 라는 서버를 거치지 않고 호스트 파일에 정의되어 있어 도메인 주소가 IP주소로 바뀔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호스트 파일의 역할이다. 아래 사진은 호스트 파일을 메모장으.. IT/Windows 2019. 9. 6.
윈도우 비밀번호 분실, 비밀번호 재설정, 비밀번호 찾기 결론적으로 찾을 순 없습니다. 분실했을 경우 재설정만이 가능합니다.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간략히 아래와 같습니다. 준비물: 윈도우10 설치 USB 부팅디스크 또는 설치 CD 가 있어야 한다. 윈도우 설치 화면 진입 shift+f10 눌러 cmd 창 열기 윈도우가 설치되어 있는 드라이브에서 windows\system32\cmd.exe 파일을 windows\system32\utilman.exe 파일로 이름만 바꾸면 된다. 윈도우 로그인 화면에서 utilman.exe 실행(아이콘)하여 "net user 사용자계정명 비밀번호" 명령어로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상세 설명 1. 부팅시 윈도우 설치화면 진입 - 부팅 순서를 usb/cd 로 하면 된다. - 처음 부팅할 때 F2 또는 F4 또는 F8을 연타하여 .. IT/Windows 2019. 8. 30.
윈도우 용량 줄이기 1. Windows - hiberfil.sys / pagefile.sys hiberfil.sys 이란 컴퓨터가 '최대 절전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 현재 작업 중인 내용을 하드 디스크에 기록하는데 사용된다. 주로 노트북에서 사용되는데 사용자가 '최대 절전 모드'로 컴퓨터를 전환시킨 후 다시 컴퓨터를 가동했을 때 현재 작업 중인 내용이 즉시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파일의 크기는 "컴퓨터 메모리의 크기"와 거의 일치한다. 왜냐면 현재 메모리로 작업 중인 내용을 모두 파일로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내 컴퓨터의 메모리가 500MB 정도 될 때 hiberfil.sys 파일의 크기도 500MB가 되고, 만약 메모리가 1GB라면 이 파일의 크기도 함께 증가하여 1GB가 된다. 파일의 크기와 위치는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없다. 그럼 이 파일을 삭제해 버리면 어떤 일이.. IT/Windows 2019. 8. 23.
윈도우 업데이트 구성 중 35% 에서 무한 로딩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오류 문구 windows updates 구성 중 35% 완료 컴퓨터의 전원을 끄지 마십시요. 발생 원인 윈도우 7에서만 발생합니다. 최근 윈도우 디스크 정리 또는 업데이트 정리를 했을 것입니다. 디스크 정리하면서 삭제된 업데이트 파일 및 데이터 파일이 지워져서 다시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럴꺼면.. 왜 디스크 정리라는 것을 만들었는지 참.. 해결방법 가장 권장하는 방법은 기다림 입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관련하여 장시간 소비하는 것은 오류가 아니니 기다리셔야 합니다. 기다리는 시간이 하루 이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Microsoft 는 아주 영리한 집단입니다. 머 이렇게 만들었어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이 운영체제를 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도 기다림, 두 번째도 기.. IT/Windows 2019. 8.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