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보안177

CDN 없이 웹사이트 운영하지 마세요! 속도와 보안의 핵심 기술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이란 웹사이트의 콘텐츠(이미지, 동영상, 웹페이지 등)를 여러 지역의 서버에 분산 저장하여 빠르게 제공하는 기술이에요.✅ CDN을 사용하는 이유속도 향상사용자가 가까운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오기 때문에 웹사이트 로딩 속도가 빨라져요! 🚀DDoS 공격 방어트래픽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여러 서버로 분산되므로 DDoS 공격을 막을 수 있어요.서버 부하 감소원본 서버(오리진 서버)의 부담을 줄여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해요.전 세계 어디서나 빠른 접속글로벌 사용자도 가까운 CDN 서버를 통해 빠르게 접속할 수 있어요.✅ CDN이 어떻게 작동할까?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CDN 네트워크에서 가장 가까운 서버를 찾고그 서버에서 콘.. IT/보안 2025. 3. 17.
보안 사고 대응 절차(Incident Response Process): 해킹, 데이터 유출 시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사이버 공격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으며, 완벽한 보안 시스템은 존재하지 않습니다.그렇기 때문에 보안 사고(Incident)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회사의 데이터가 유출된다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았을 때 무엇부터 해야 할까?”이 글에서는 보안 사고 대응 절차(Incident Response Process) 를 이해하고, 기업과 조직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공식적인 기준과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공식 가이드라인 출처:NIST SP 800-61 Rev. 2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2012)ISO/IEC 27035:2016 (국제 표준 정보보안 사고 관리 가이드라인)SANS Incide.. IT/보안 2025. 3. 13.
IDS, IPS, APT, 방화벽 차이점 한 번에 정리! 보안 시스템,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인터넷을 사용하면서 해킹, 악성코드 감염, 정보 유출 등의 위협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도 보안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시스템의 역할과 차이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IDS(침입 탐지 시스템), IPS(침입 방지 시스템), APT(지능형 지속 공격), 그리고 방화벽의 개념과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1.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침입 탐지 시스템)IDS란?IDS는 네트워크나 시스템에서 비정상적인 활동을 탐지하는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보안 카메라 역할을 하는데, 침입자가 나타나면 경고를 보내지만 직접 막지는 않습니다.IDS의 종류NIDS(Network-based.. IT/보안 2025. 3. 11.
완벽한 보안 전략 수립 가이드! 위험 식별부터 대응까지 4단계 접근법 ✅ 왜 보안 전략이 중요한가?디지털 환경이 발전할수록 사이버 위협도 증가하고 있습니다.랜섬웨어 공격, 데이터 유출, 피싱 사기 등 다양한 위협에 대비하려면 체계적인 보안 전략이 필요합니다.보안 전략은 단순한 보안 도구 도입이 아니라, 리스크 관리 중심의 4단계 접근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립해야 합니다.보안 전략 수립 4단계보안 전략은 위험 식별(Identify), 평가(Assess), 예방(Protect), 대응(Respond & Recover)의 4단계로 나누어야 합니다. 단계 설명 주요 활동 1️⃣ 위험 식별 (Identify)보호해야 할 자산과 위협을 파악자산 목록화, 위협 모델링, 취약점 분석2️⃣ 위험 평가 (Assess)발생 가능성과 영향도를 분석위험 분석, 우선순위 결정, 보안 정책 수립.. IT/보안 2025. 3. 11.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이란? 보안 환경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습니다.과거에는 기업 내부 네트워크는 안전하다는 가정하에 보안을 구축했지만, 이제는 더 이상 그렇지 않습니다.💡 "직원이라도 무조건 신뢰하면 안 된다?"💡 "VPN을 사용해도 해킹이 가능하다고?"👉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입니다.👉 오늘은 제로 트러스트의 개념과 필요성, 원칙, 적용 방법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1️⃣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란?🔹 기존 보안 모델 vs. 제로 트러스트과거 보안 모델은 "네트워크 내부는 안전하다"는 전제를 가졌습니다.그러나, 내부자가 해킹당하거나 VPN이 뚫리면 더 이상 안전하지 않습니다.📌 Zero Trust(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은 기본적으로 "아.. IT/보안 2025.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