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 관리 및 법규 -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제3장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지정 및 취약점 분석[편집]
-
제8조(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지정 등)
①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소관분야의 정보통신기반시설중 다음 각호의 사항을 고려하여 전자적 침해행위로부터의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정보통신기반시설을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할 수 있다.
1. 당해 정보통신기반시설을 관리하는 기관이 수행하는 업무의 국가사회적 중요성
2. 제1호의 규정에 의한 기관이 수행하는 업무의 정보통신기반시설에 대한 의존도
3. 다른 정보통신기반시설과의 상호연계성
4. 침해사고가 발생할 경우 국가안전보장과 경제사회에 미치는 피해규모 및 범위
5. 침해사고의 발생가능성 또는 그 복구의 용이성
②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지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해당 관리기관에 요구할 수 있다.
③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관리기관이 해당 업무를 폐지·정지 또는 변경하는 경우에는 직권 또는 해당 관리기관의 신청에 의하여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④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관리·감독하는 기관의 정보통신기반시설에 대하여는 안전행정부장관이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협의하여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로 지정하거나 그 지정을 취소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2013.3.23>
⑤중앙행정기관의 장이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 또는 지정 취소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심의를 받아야 한다. 이 경우 위원회는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 또는 지정취소의 대상이 되는 관리기관의 장을 위원회에 출석하게 하여 그 의견을 들을 수 있다.
⑥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을 지정 또는 지정 취소한 때에는 이를 고시하여야 한다. 다만, 국가안전보장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이를 고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⑦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지정 및 지정취소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이를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IT >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보안 관리 및 법규 - ISO 27001, ITSEC, CC(Common Criteria), ISMS 정의 (0) | 2019.08.27 |
---|---|
정보보안 관리 및 법규 - ISMS 인증 범위 (0) | 2019.08.27 |
정보보안 관리 및 법규 - 개인정보영향평가 (0) | 2019.08.26 |
정보보안 관리 및 법규 - 위험분석 방법론 (델파이법, 시나리오법, 순위결정법, 확률분포법) (0) | 2019.08.26 |
정보보안 일반 - 블록암호 운영모드 CBC, ECB, CTR, CFB (0) | 2019.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