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 보안 - 접근 통제 정책
본문 바로가기

정보보안 보안 - 접근 통제 정책

액트 2019. 8. 23.
반응형

정보보안 보안 - 접근 통제 정책


강제적 접근통제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모든 주체와 객체에 보안관리자가 부여한 보안레이블이 부여되며 주체가 객체를 접근할 때 주체와 객체의 보안 레이블을 비교하여 접근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② 미리 정의된 보안규칙들에 의해 접근허가 여부가 판단되므로 임의적 접근통제 정책에 비해 객체에 대한 중앙 집
중적인 접근통제가 가능하다.
③ 강제적 접근통제 정책을 지원하는 대표적 접근통제 모델로는 BLP(Bell-Lapadula), Biba 등이 있다.
④ 강제적 접근통제 정책에 구현하는 대표적 보안 메커니즘으로 Capability List와 ACL(Access Control List) 등 이 있다


접근통제 정책의 구분

  1. 임의적 접근통제정책(DAC ;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2. 강제적 접근통제정책(MAC ; Mandatory Access Control)

  3. 역할기반 접근통제정책(RBAC ; Role-based Access Control)

 

1. 임의적 접근통제정책(DAC)

 (1) DAC의 개념

  데이터의 소유자(owner)가 접근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신분 즉 식별자(identity ; ID)에 기초하여 객체에 대해 접근을 제한하는 접근통제 방법이다.

 

 (2) DAC의 특징

  ① 접근 권한을 객체의 소유자가 임의로 지정하는 자율적 정책이다.

  ② 허가된 주체에 의하여 변경 가능한 하나의 주체와 객체간의 관계를 정의한다.

  ③ 접근 통제 목록(ACL ; Access Control List)등을 사용한다.

  ④ 강제적 접근제어 (MAC) 방식을 대체하는 기술은 아니다.

  ⑤ 오렌지북 C-레벨의 요구사항이다.

  ⑥ 장 · 단점

   ㄱ. 장점 : 융통성이 많아 상업적 용도로 사용된다.

   ㄴ. 신분(ID)도용 시 통제 방법이 없다.

 

 (3) DAC의 종류

  ① Identity-Based DAC : 주체와 객체의 ID(Identity)에 따른 접근통제로 유닉스에서 사용한다.

  ② User-Directed : 객체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가 접근 권한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접근 통제이다.

 

 

 

2. 강제적 접근통제정책(MAC)

 (1) MAC의 개념

  강제적인 접근 제한 또는 MAC은 정보시스템 내에서 어떤 주체가 어떤 객체에 접근하려 할 때 양자의 보안레이블(보안등급)을 비교하여 높은 보안을 요하는 정보가 낮은 보안수준의 주체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접근을 제한하는 접근통제 방법이다.

 

 (2) MAC의 주요 특징

  ① 접근승인은 보안레벨(level)과 카테고리(category)로 구성되는 보안레이블(Security label)에 의해 제한된다.

  ② 접근정책은 시스템(system)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정의되기 대문에 Rule-based 접근통제라고도 한다.

  ③ 오렌지북 B-레벨의 요구사항으로 DAC보다 안전하다.

  ④ 장 · 단점

   ㄱ. 장점 : 보안이 매우 엄격하여 군대와 같은 민감한 정보의 기밀성을 보장하는데 사용된다.

   ㄴ. 단점 : 모든 접근에 대해 보안등급을 정의하고 정책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개발, 구현이 어렵다.

 

 (3) MAC의 종류

  ① Rule-based MAC : 주체와 객체의 특성에 관계된 특정 규칙에 따른 접근 통제이다.

  ② Administratively-directed MAC : 객체에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한 통제이다.

  ③ CBP(Compartment-Based Policy) : 일련의 객체 집합을 다른 객체들과 분리하여 통제이다.

  ④ MLB(Multi-Level Policy) : 각 객체별로 지정된 등급만 사용하고, TCSEC(미국방성의 컴퓨터 보안 평가지표)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BLP(벨-라파둘라) 수학적 모델로 표현이 가능하다.

 

 

 

3. 역할기반 접근통제정책(RBAC)

 (1) RBAC의 개념

  주체가 적절한 역할(role)에 할당되고 역할에 적합한 접근권한이 할당된 경우만 객체에 접근할 수 있는 비임의적 접근제어(Non DAC) 방식으로 전통적인 DAC와 MAC의 대체 수단으로 사용된다.

 

 (2) RBAC의 주요 특징

  ① 주체의 역할이나 임무에 따라 객체의 접근 권한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② 조직의 기능 변화나 인사이동에 따른 관리적업무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다.

  ③ 역할에 따라 설정된 권한만 할당하기에 보안 관리를 아주 단순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④ 알 필요성 원칙, 최소권한 원칙, 직무분리 원칙이 지켜진다.

  ⑤ 금융기관,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⑥ 오렌지북 C- 레벨의 요구사항이다.

 

 (3) RBAC의 종류

  ① Task-based Non DAC : 해당 업무에 해당하는 것만 접근가능하다.

  ② Latticed-based Non DAC : 역할에 할당된 민감도 레벨에 의해 접근이 결정되고, 관련된 정보로만 접근할 수 있도록 통제된다.

 

※ 1. Orange Book(미국 국방부 컴퓨터 시스템 평가기준 ; TCSEC)

 ① 시스템 즉 운영체제에 대한 신뢰 수준을 정의한 문서

 ② 시스템 보안 평가 기준 중 최초로 수용된 평ㅇ가 기준

 ③ 네트워크를 고려하지 않은 단일 시스템 보안 평가 기준

 

 

 

접근통제 정책 정리

 

강제적  MAC

임의적  DAC

 역할기반 RBAC

 접근권한 부여자

 시스템

 데이터소유자

 Central Authority

 접근여부 결정기준

 보안 레이블

 신분

 역할

 정책

 경직

 유연

 유연

 오렌지 북

 B-레벨

 C-레벨

 C-레벨

 장점

 안전/중앙집중관리

 구현이 용이

 다양한 접근권한

 단점

 구현, 비용, 성능문제

 신분위장

 X

 

 

 

접근통제 보안모델

 (1) 개요

  보안모델이란 조직에서 보안 정책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로 수학적 검증을 통과한 모델이다. 수학적 모델이란 명백하고, 실행가능하고, 쉽게 이해하고, 보안정책의 반영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보안모델

 주요 특징

 Bell-LaPadula (벨라파둘라)

 기밀성을 목적으로 하는 최초의 수학적 보안모델

 Biba (비바)

 무결성을 목적으로 하는 최초의 수학적 보안모델

 Clark and Wilson (클락윌슨)

 무결성 유지 정책을 이용한 상업용 보안모델

 Brewer Nash (만리장성)

 이해 충돌 회피를 위한 보안모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