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T 공격이란? APT 공격의 특징과 대응 방법
반응형
🔍 APT 공격이란 무엇인가요?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고도 지속 위협)는 단순한 해킹과는 다릅니다. 일반적인 해킹이 빠르게 침입하고 빠져나가는 게릴라전이라면, APT는 정찰부터 내부 점령까지 계획된 첩보전에 가깝습니다.
APT 공격은 보통 정부기관, 대기업, 방산업체, 인프라 시스템을 타깃으로 하며, 금전보다 기밀 정보 탈취나 장기적 침투 목적이 더 큽니다.
APT 공격의 핵심 특징
특징 | 설명 |
지능적(Advanced) | 최신 기술과 사회공학적 수법을 결합해 보안 시스템 우회 |
지속적(Persistent) | 한 번 침입에 성공하면 수개월~수년간 은밀히 활동 |
위협(Threat) | 단순한 악성코드가 아닌, 조직적인 공격자 그룹의 위협 |
🔁 APT 공격의 6단계
[1] 정찰(Reconnaissance) → [2] 초기 침투(Initial Intrusion) → [3] 악성코드 설치(Malware Installation) → [4] 명령 및 제어(C2 Communication) → [5] 내부 확산(Lateral Movement) → [6] 정보 탈취 또는 파괴(Exfiltration or Damage)
💡 참고: 이 단계는 대부분 MITRE ATT&CK 프레임워크 기준에 기반함.
🚨 실제 사례
- APT1 (중국 해킹 그룹): 미국 기업 141곳 대상, 지식재산 탈취
- SolarWinds 해킹(2020): 미 정부기관 포함 18,000여 기관 피해, 러시아 연계 추정
🛡 APT 공격 대응 방법
APT는 탐지가 어렵고 장기적인 위협이기 때문에, 단순한 백신이나 방화벽만으로는 막기 어렵습니다.
✅ 핵심 대응 전략 (표)
대응 방법 | 설명 |
보안 관제(SOC) 운영 | 실시간 이상행위 탐지 및 대응 체계 운영 |
EDR/ XDR 도입 | 엔드포인트에서 위협 감지 및 대응 수행 |
정기적인 침해사고 대응 훈련 | 모의훈련을 통해 인식 향상 및 대응 체계 점검 |
제로 트러스트 보안 모델 도입 | 내부 사용자조차 검증 없이 신뢰하지 않음 |
보안 패치 관리 | 취약점 악용을 막기 위한 주기적인 업데이트 |
🧩 APT와 일반 해킹의 차이
항목 | 일반 해킹 | APT 공격 |
공격 지속성 | 짧음 | 장기적 |
공격 목적 | 금전, 장난 | 정보 탈취, 첩보 활동 |
공격 대상 | 누구나 | 특정 기관, 기업 |
탐지 난이도 | 비교적 쉬움 | 매우 어려움 |
참고 자료
- FireEye. (2013). APT1: Exposing One of China’s Cyber Espionage Units. Retrieved from https://www.fireeye.com
- MITRE. (2024). ATT&CK Framework. Retrieved from https://attack.mitre.org
- NIST. (2020). Guide to Cyber Threat Information Sharing (SP 800-150). Retrieved from https://nvlpubs.nist.gov
마무리 요약
- APT는 침묵 속에 파고드는 고도화된 위협
- 조직적인 해커 집단이 정교한 전략으로 침입
- 단순한 방어보다, 지속적 모니터링과 체계적 대응 전략이 필수
반응형
'IT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그 분석을 통해 내부자 위협(Insider Threat)을 감지하는 방법 (0) | 2025.04.16 |
---|---|
침해사고 대응 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로그 파일은? (0) | 2025.04.16 |
디지털 포렌식에서 '증거 보존(Chain of Custody)'이 중요한 이유 (0) | 2025.04.16 |
랜섬웨어 공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0) | 2025.04.16 |
MCP 서버의 보안 위험성: 개인 및 기업 사용자가 알아야 할 주의사항 (1) | 2025.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