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atGPT와 중국 AI DeepSeek의 개인정보 수집 차이점 비교 분석

액트 2025. 2. 7.
728x90
반응형

최근 ChatGPT중국 AI DeepSeek개인정보 수집 방식을 비교한 결과, 두 서비스 간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에 관심 있는 사용자들이 꼭 알아야 할 주요 차이점을 정리했습니다.

DeepSeek 사용법과 개인정보 활용 정보는 아래 글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1. 개인정보 수집 항목의 차이

DeepSeekChatGPT보다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을 추가로 수집합니다. 이는 민감한 생체 데이터로 평가받는 항목입니다.

항목 ChatGPT DeepSeek
키보드 입력 패턴 수집 수집하지 않음 수집 (타이핑 속도, 리듬 등)
생체인식 데이터로 사용 가능성 없음 지문·얼굴 인식처럼 민감한 정보
개인 식별 가능 여부 불가능 대상 좁힐 경우 본인 확인 가능

2. 수집된 개인정보의 공유 방식

개인정보 수집 이후 정보 공유 정책에서도 두 서비스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항목 ChatGPT DeepSeek
광고 목적으로 정보 공유 없음 별도의 동의 없이 광고·분석 파트너와 공유 가능
제3자 정보 판매 판매하지 않음 제3자에게 정보 공유 가능성 있음
개인정보 보호 정책 프라이버시 중심 광범위한 데이터 공유 가능

3. 데이터 저장 위치 및 정부 접근 가능성

데이터가 저장되는 서버 위치정부의 접근 가능성은 개인정보 보호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항목 ChatGPT DeepSeek
데이터 저장 위치 미국 내 서버 중국 내 서버
정부의 데이터 접근 가능성 법적 절차 필요 (제한적) 중국 국가정보법에 따라 정부 접근 가능
관련 법률 미국 법률 중국 국가정보법 제7조 적용

중국 국가정보법 제7조: “모든 조직과 국민은 중국의 정보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민간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4. 데이터 수집 거부 옵션 여부

데이터 수집 거부 옵션의 존재 여부도 사용자에게 중요한 선택 기준입니다.

항목 ChatGPT DeepSeek
데이터 수집 거부 옵션 설정을 통해 거부 가능 거부 옵션 없음 (자동 수집)
모델 개선 데이터 활용 제한 가능 불가능

ChatGPT는 사용자가 설정을 통해 데이터가 모델 개선에 활용되는 것을 거부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반면 DeepSeek은 사용자가 모든 입력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며 이를 막을 방법이 없습니다.

5. DeepSeek에 대한 접속 차단 조치

최근 한국 정부 부처, 금융기관, 지자체, 경찰, 공수처 등에서 DeepSeek에 대한 접속 차단 조치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개인정보 유출 및 보안 우려에 따른 조치입니다.

결론 ChatGPT vs DeepSeek,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ChatGPTDeepSeek은 AI 서비스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 방식과 정책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중시하는 사용자라면 ChatGPT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 DeepSeek개인화된 데이터 분석에 강점이 있지만,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AI 사용 전, 개인정보 수집 및 공유 정책을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내가 사용하는 서비스가 어디에서 어떻게 내 데이터를 사용하는지 꼼꼼히 살펴보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